정보처리기사 실기 대비 - 시험 전 확인해봐야 할 예상문제 20선 2편
2020년도 정보처리기사 실기 4회와 5회를 대비하여 자주 틀리거나 중요한 문제 중 20문제 올립니다.
정보처리기사 실기 시험 치기 전 간단히 체크해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.
아래 링크로 들어가시면 1편 확인할 수 있습니다.
2020/11/07 - [개발하는 '정'/정보처리기사] - 정보처리기사 실기 대비 - 시험 전 확인해봐야 할 문제 20선 1편
정보처리기사 5회 실기 대비 - 시험 전 확인해봐야 할 문제 20선
정보처리기사 실기 5회 대비 - 시험 전 확인해봐야 할 문제 20선 2020년도 정보처리기사 실기 5회를 대비하여 자주 틀리거나 중요한 문제 중 20문제 올립니다. 정보처리기사 실기 시험 치기 전 간단
zpxlcm.tistory.com
Q1. 다음이 설명하는 것은?
UI 화면 설계를 위해서 정책이나 프로세스 및 콘텐츠의 구성, 와이어 프레임(UI, UX), 기능에 대한 정의, 데이터베이스의 연동 등 구축하는 서비스를 위한 대부분 정보가 수록된 문서로서, 디자이너와 개발자가 최종적으로 참고하는 산출 문서 |
A.
스토리보드 Storyboard
Q2. 다음이 설명하는 것은?
온라인 상에서 불법 활동을 조장하기 위해 만들어진 컴퓨터 프로그램으로, 공격용 툴킷이라고도 불리며 보통 취약점을 이용하도록 미리 프로그래밍 된 악성코드 등으로 구성되어 원하는 형태로 공격을 감행하거나 공격을 자동화 할 수 있다. |
A.
크라임웨어 Crimeware
Q3. 괄호 안에 알맞은 용어를 쓰시오.
( 1 ) : 시스템 부하가 많아 낮은 등급의 준비 큐에 있는 프로세스가 무한정 대기하는 현상 ( 2 ) : 메모리가 공유되는 한 객체에 두 개 이상의 스레드가 동시에 값을 변경한 경우 발생하는 성능 저하의 문제점 ( 3 ) : 둘 이상의 프로세스가 서로 자원을 점유해 무한정 대기하는 현상 |
A.
( 1 ) : 기아 현상
( 2 ) : 경쟁 조건
( 3 ) : 교착상태
Q4. 괄호 안에 알맞은 용어를 쓰시오.
( 1 ) : 재해복구 및 비상계획 등으로 비즈니스의 지속성을 보장하는 계획 ( 2 ) : 손실을 가정하여 시간의 흐름에 따른 영향과 손실 평가를 조사하는 비즈니스 영향 분석 ( 3 ) : 재해 복구 계획의 원활한 수행을 위해 자원을 확보하고 지속적으로 관리하는 재난 복구 센터 ( 4 ) : 비즈니스 중심의 업무 복구 시스템 ( 5 ) : 재해나 재난으로 인해 업무가 중단된 시점부터 복구되어 재가동되는데까지의 시간 ( 6 ) : 재해나 재난으로 인해 업무가 중단된 시점부터 복구되어 재가동되는데까지 데이터의 손실이 허용되는 시점 ( 7 ) : 기업의 자산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는 사건이나 행위 ( 8 ) : 조직의 데이터 혹은 조직의 소유자가 가치를 부여한 대상 ( 9 ) : 취약점으로 자산에 피해를 입힐 가능성 |
A.
( 1 ) : BCP (Business Continuity Planning)
( 2 ) : BIA (Business Impact Analysis)
( 3 ) : DRS (Disaster Recovery Services)
( 4 ) : BRS (Business Requirement Specification)
( 5 ) : RTO (Recovery time Objective)
( 6 ) : RPO (Recovery Point Objective)
( 7 ) : 위협
( 8 ) : 자산
( 9 ) : 위험
Q5. 다음은 JAVA 소스 코드이다. 실행 결과를 쓰시오.
A.
4, 4
Q6. 보안의 3요소를 쓰시오.
A.
기밀성 : 인가된 사용자만이 정보에 접근 가능
무결성 : 인가된 사용자만이 인가된 방법으로 정보를 변경 가능. 내용이 변경되지 않고 올바른 상태를 유지하는 성격
가용성 : 인가된 사용자가 원하는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보장
Q7. 결함 조치 상태 중 "재테스트 하였을 때 오류가 발견되지 않은 상태"를 일컫는 용어는?
A.
종료됨 (Closed)
참고) 결함 조치 상태 = 오류 목록 상태
열린 Open : 오류가 발견되었으나 보고되진 않은 상태
할당된 Assigned : 오류 사항 수정을 위하여 개발자에게 오류가 할당된 상태
연기된 Deffered : 낮은 우선순위로 연기된 상태
종료된 Closed : 재테스트 하였을 때 오류가 발견되지 않은 상태
수정된 Fixed : 개발자가 오류를 수정한 상태
분류된 Classified : 보고된 오류를 관련자가 확인했을 때 오류가 아니라고 확인한 상태
Q8. 다음 연산 결과는?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{ int x = 3; int y = 4; System.out.println(++x + y++); } |
A.
8
Q9.
하나의 송신자가 같은 서브 네트워크 상의 모든 수신자에게 데이터를 전송하는 네트워크 기술
A.
브로드캐스트
참고)
유니캐스트 : 1:1로 데이터 전송
애니캐스트 : 단일 송신자가 수신자 그룹 중 가까운 노드에 전송
멀티캐스트 : 하나 이상의 송신자가 하나 이상의 수신자에게 전송
Q10.
공개키 암호 방식 기반으로 디지털 인증서를 활용하는 소프트웨어, 하드웨어, 사용자, 정책 및 제도 등을 총칭하는 암호기술. 공개키 알고리즘을 통한 암호화 및 전자서명을 제공하기 위한 복합적인 보안 시스템 환경. 암호화와 복호화키로 구성된 공개키를 이용해 송수신 데이터를 암호화하고 디지털 인증서를 통해 사용자를 인증하는 시스템. |
A.
공개키 기반 구조 PKI
Q10. 암호화 알고리즘에 대한 설명이다. 각 괄호에 맞는 용어를 쓰시오.
( 1 ) : 공개 키 암호 시스템으로, 암호화 및 전자서명이 가능한 최초의 알고리즘 |
A.
( 1 ) : RSA
( 2 ) : DES
( 3 ) : AES
( 4 ) : ARIA
( 5 ) : SEED
( 6 ) : HAS-160
Q11. 다음 코드의 실행 결과는?
#include <iostream>
using namespace std;
class A{
public:
A( ){
cout << "A" << endl;
};
A(int a){
cout << "B" << endl;
};
~A( ){
cout << "C" << endl;
};
void fn( ){
cout << "D" << endl;
}
};
void main( ){
A *a = new A(5);
a->fn();
delete a;
}
A.
B
D
C
Q12. 라우팅 프로토콜에 대한 설명이다. 각 괄호에 맞는 용어를 쓰시오.
( 1 ) : 인터넷에서 주 경로 지정 담당. 자율 시스템 간 라우팅에 사용되며, 규모가 큰 네트워크를 상호 연결한다. |
A.
( 1 ) : BGP
( 2 ) : IGP
( 3 ) : EGP
( 4 ) : RIP
( 5 ) : OSPF (정보처리기사 실기 3회 출제)
( 6 ) : IGRP
Q13. OSI 7계층 중 네트워크 계층의 전송 단위는?
A.
패킷
참고) OSI 7계층 계층별 전송 단위
응용, 표현, 세션 계층 : 메시지
전송 계층 : 세그먼트
네트워크 계층 : 패킷
데이터 링크 계층 : 프레임
물리 계층 : 비트
Q14. 다음이 설명하는 것은?
제품 소프트웨어 개발단계부터 적용한 기준이나 패키징 이후 설치 및 사용자 측면의 주요 내용 등을 기록한 문서. 사용자 중심으로 작성되며, 설치 매뉴얼과 사용자 매뉴얼이 있다. |
A.
제품 소프트웨어 매뉴얼
Q15. 다음이 설명하는 것은?
데이터의 중복성으로 인해 릴레이션을 처리할 때 발생하는 비합리적인 현상 |
A.
이상현상 (Anomaly)
Q16. 애플리케이션의 성능 분석 도구에 대한 설명이다. 각 괄호 안에 알맞은 용어를 쓰시오.
( 1 ) : 애플리케이션에 부하나 스트레스를 가해 애플리케이션 성능 측정 지표를 점검하는 도구. JMeter,OpenSTA,LoadUI 등이 있다. ( 2 ) : 애플리케이션 실행 시 시스템 자원 사용량을 분석하는 도구. Zabbix,Scouter 등이 있다. |
A.
( 1 ) : 성능 테스트 도구
( 2 ) : 시스템 모니터링 도구
Q17. 다음은 결함 관리 프로세스이다. 빈칸을 채우시오.
에러 발견 → 에러 등록 → ( 1 ) → 결함 할당 → ( 2 ) → 결함 조치 → 결함 조치 검토 및 승인 |
A.
( 1 ) : 에러 분석
( 2 ) : 결함 확정
참고) "발등 분할 확조검"
Q18. 라우팅 알고리즘 종류 2가지를 쓰시오.
A.
거리 벡터 알고리즘 : 라우터 간 최단 경로를 파악, 그 최단 경로를 사용할 수 없을 때 대체 경로를 찾는 방식. RIP 등이 있다.
링크 상태 알고리즘 : 라우터 간 모든 경로를 파악한 뒤 대체 경로를 사전에 마련해두는 방식. OSPF 등이 있다.
Q19. 정형기술검토(FTR) 기법 종류 중 아래 글이 설명하는 것은?
요구사항 명세서 작성자가 명세서를 설명하면 이해관계자가 이를 듣고 결함을 발견하는 검토 기법 |
A.
동료 검토 (Peer Review)
Q20. 다음이 설명하는 것은?
객체지향 기법 중의 기본 원칙 중 하나의 메시지를 각 객체마다 가지고 있는 고유한 특성으로 응답할 수 있는 능력. 대표적인 기술로 오버로딩과 오버라이딩이 있다. |
A.
다형성 Polymorphism
정보처리기사 실기 대비 20문제였습니다. 꼭 합격하길🙏🙏
'개발하는 '정' > 정보처리기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020년도 정보처리기사 실기 3회 합격 후기 (0) | 2020.11.12 |
---|---|
정보처리기사 5회 실기 대비 - 시험 전 확인해봐야 할 문제 20선 (0) | 2020.11.07 |
2020년도 정보처리기사 5회 대비 - 자주 틀리는 문제 1 (0) | 2020.11.03 |
2020년 정보처리기사 실기 내용 정리 - 2. 데이터 입출력 구현 -1) 데이터베이스 설계 (0) | 2020.10.28 |
2020년 정보처리기사 실기 내용 정리 - 1. 요구사항 확인 (0) | 2020.10.27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