
모바일청첩장에서 자주 보이는 지도어플의 길안내로 연결되는 내비게이션 바로가기 링크를 만들어보고자 한다.
내비게이션 바로가기는 API 대신 스키마로 간단하게 구현할 수 있다.
주의! 해당 어플이 없는 경우 연결되지 않는다. 어플이 없을 때, 설치 경로로 이동하는 소스가 선행되어야한다.
사용법은 아래와 같다.
1. 네이버지도
<a href="nmap://route/car?dname=위치이름&dlat=X좌표&dlng=Y좌표">네이버지도</a>
nmap://route/car 을 사용하며 dlat에 x좌표를, dlng에 y좌표를, dname에 위치이름을 입력한다.
2. 티맵
<a href="tmap://route?goalname=위치이름&goalx=X좌표&goaly=Y좌표">티맵</a>
tmap://route 을 사용하며 goalx에 x좌표를, goaly에 y좌표를, goalname에 위치이름을 입력한다.
3. 카카오내비
<a href="https://map.kakao.com/link/to/위치이름,X좌표,Y좌표">카카오내비</a>
https://map.kakao.com/link/to/ 을 사용할 수 있으며 위치이름, x좌표, y좌표 순으로 입력한다.
카카오 스페이스를 예로 들어보자면, 아래처럼 작성하면 된다.
시작 위치를 지정하지 않았으므로, 현재 위치가 시작점이 된다.
<a href="nmap://route/car?dlat=33.450664660622955&dlng=126.5706506344338&&dname=카카오스페이스">네이버지도</a>
<a href="tmap://route?goalname=카카오스페이스&goalx=126.5706506344338&goaly=33.450664660622955">티맵</a>
<a href="https://map.kakao.com/link/to/카카오스페이스,33.450664660622955,126.5706506344338">카카오내비</a>
+) X좌표, Y좌표는 카카오 지도 API 예제 화면에서 쉽게 확인할 수 있다.
https://apis.map.kakao.com/web/sample/addMapClickEventWithMarker/
지도를 클릭하면 클릭한 위치의 좌표를 구할 수 있다.

반응형
반응형
'개발하는 '정' > 기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확장자없는 이미지 출력되지않는 경우 IIS 조치 (0) | 2023.06.27 |
---|---|
[Visual Studio] GitHub Gi 리포지토리를 로컬로 복제하기 (0) | 2023.03.08 |
ASP.NET a 태그로 CS 함수 호출 (__doPostBack) (0) | 2023.01.12 |
VSCODE GIT 연동하기 (0) | 2022.12.05 |
VSCODE SFTP 설치 (0) | 2022.12.02 |
댓글